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민265 실전활용 "PacePro페이스조절전략", 한강벚꽃마라톤대회

by REAL HJONG 2025. 3. 30.
반응형

 

마라톤대회 실전에서 페이스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해 보신 적 있나요? 가민 265에서 "PacePro페이스조절전략"을 활용하면 목표페이스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전략을 계획하고 실전에 사용할 수 있어요. 한강벚꽃마라톤대회에서 가민 265 "PacePro페이스조절전략" 기능을 실전에 활용한 것을 공유해 볼게요. 비싼 스마트워치를 많이 알고 활용할수록 러닝도 즐거워지고 발전할 수 있을 거예요

가민265 실전기능

 

 

가민 connect바로가기

 

 

가민 265 PacePro계획 짜기

먼저, 폰에 있는 가민 Connect앱에 들어가셔서 설정해 주시면 됩니다.

PacePro설정순서
PacePro설정순서
PacePro설정순서

 

마지막이 제일 중요합니다. 달리는 스타일에 따라 페이스를 마지막에 높이는 스타일인지, 아니면 처음에 페이를 높게 가져가는지 속도조절전략을 좌우로 옮겨주시면 페이스 조절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 포지티브 : 빠른 페이스에서 느린 페이스로 달리는 전략
  • 네거티브 : 느린 페이스에서 빠른 페이스로 달리는 전략

이번 한강벚꽃마라톤 실전에는 네거티브로 10km 47분 PB(개인기록)를 세울 생각입니다.

 

2025년 한강벚꽃마라톤대회바로가기

 

 

 

 

한강벚꽃마라톤대회 실전활용

  • PacePro 페이스조절 전략 : 네거티브전략
  • PacePro 페이스조절 전략과 실전적용결과비교
빨간색점 : 페이스 계획목표와 높고 낮음에 차이가 큰 경우
노란색점 : 페이스 계획목표와 높고 낮음이 유사한 경우
초록색점 : 페이스 계획목표에 부합한 경우

전반5km 비교

출발에서 조금 힘 있게 출발하면서, 페이스 전략에 다소 차이가 발생하였습니다. 전반 페이스는 목표페이스보다 다 빠르게 달리게 되었습니다.

후반5km 비교

10km 페이스 중 3번의 페이스를 미스했으며, 나머지 7번은 전략과 유사 또는 부합하게 달렸습니다.
결과적으로 목표 페이스보다 평균 빠르게 목표 달성을 하게 되었습니다.

 

 

PacePro 페이스조절 전략 실전적용에 대한 분석

  • PacePro 페이스조절 음성 안내 : 음성안내는 목표페이스와의 차이를 1km마다 알려줍니다. 
목표페이스보다 30초 앞서있습니다.

  • 워크아웃 음성안내는 순간순간 목표페이스와의 높고 낮음을 안내해 주는 반면 PacePro는 전체목표시간대비 차이를 안내함으로써 1km마다 속력을 높일지 말지 조절하게 해 줍니다.
  • 전체적인 활용분석 : 네거티브 및 포지티브로 일괄 페이스 조절은 코스의 난이도에 따라 실전적용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초반 페이스를 높였고, 코스의 고도가 생각보다 험해서 세부적으로는 페이스 조절 수행이 70% 정도로 수렴하게 했지만, 전체적인 목표를 이루는 데는 도움이 되었습니다. 즉, 마라톤 목표시간을 정하고 그 목표시간과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페이스를 조절하게 도와줍니다. 순간순간의 페이스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워크아웃수행이 실전에 맞을 수도 있습니다.

가민 connect로 바로가기

 

 

 

가민 265 주간훈련

주간훈련적용 : 주 3회 훈련진행

  • 주 1회 차 : LSD 훈련 15km~20km
  • 주 2회 차 : 인터벌훈련 : 목표페이스설정하고 7회~10회 반복훈련
  • 주 3회 차 : 실전훈련 10km 실전훈련진행

가민워크아웃으로 훈련준비

 

2025년 한강벚꽃마라톤결과

완주인증서

목표보다 44초 단축했습니다. 훈련과 실전에 PacePro페이스조절전략이 기록 단축에 많은 도움이 된 것 같습니다.

 


운동은 꾸준함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꾸준한 운동을 하게 하는 것은 의지만으로는 부족한 것 같습니다. 스스로에게 동기부여를 해줄 수 있는 것들이 분명 필요합니다. 마라톤대회를 출전하는 것, 그리고 그 대회를 위해 준비하는 것도 하나의 동기부여 방법인 것 같습니다. 꾸준한 운동을 통해 모두 건강하시면 좋겠습니다.

 

가민 265 활용 더 알아보기

 

 

반응형